본문 바로가기

시사

한국 금/국제 금 괴리율 미쳤다! 김프가 높아 일시 탈출

 

최근 금값의 고공행진과 함께 안전자산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움.

본인도 역시 금의 장기적인 가치를 믿는 마음 반절, FOMO 반절의 마음으로 꾸준히 금을 모아왔지만 오늘은 유달리 눈에 띄는 점이 있었는데, 바로 KRX 금 시장과 국제 금 시장 간의 괴리율이 눈에 띄게 벌어지고 있다는 점임... 흔히들 '김프' 라고 부르는 그것 맞음.

지나치게 벌어진 가격 차이, 외면하기 어려운 '괴리율'

내가 글을 쓰고 있는 현재(10월 15일 기준) KRX 금 현물은 1g당 약 227,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같은 시각 국제 금 시세를 원/그램으로 환산해 보면 약 191,500원 수준인데 단순 계산으로도 무려 18%가 넘는 가격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셈.

물론 국내 금 가격에는 부가가치세(10%)와 약간의 유통 마진이 포함되어 있어 국제 시세보다 다소 높은 것이 일반적이라고 함. 하지만 통상적인 프리미엄 수준을 감안하더라도 18%는 역시 좀 과도한 수준으로 보임...

 

왜 KRX 시장에서 김프가 발생하는가?

AI 한테 물어보니 이러한 높은 괴리율은 국내의 강한 투자 수요, 한정된 공급량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함.

특히 한국 KRX 시장은 정부가 금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서 양도소득세를 매기지 않는 엄청난 혜택을 주고 있는데, 거기에 금 투자가 핫해지면서 트렌디하면 몰려가는 우리 한국 투자전사들의 성향이 맞물려서 유독 더 높게 가격이 형성 되고 있는 것 같음.

 

이러한 '김프' 는 항상 유지되는 것인가 아니면 국제 금 시장의 흐름에 수렴하는가?

물론 이 김프라는 것이 항상 일정한 퍼센티지만큼 국제 금보다 위에 있는 것이라면, 이 것을 new normal 한 상태라고 생각하고 받아들여도 되겠음. 하지만 반대로 김프라는 것이 생겼다가도 거품이 꺼지고 하는 일정한 패턴을 반복하는 것이라면, 이 또한 투자의 진입과 탈출 시점을 잡는 근거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따라서 그러한 괴리율의 패턴을 보려고 국제 금 가격와 한국 KRX 시장 가격의 흐름을 차트에 서로 놓고 비교해보았음.

 

https://naver.me/xZGwydo4

 

2023년 8월을 기점으로 국제금 (검정색, troy ounce 당 달러가격)과 국내금(노랑색, gram 당 원가격) 가격의 등락을 서로 비교해놓은 차트이다 (가격이 아님)

 

실제 가격을 비교한 차트가 바로 띡! 하고 나오면 너무 좋겠지만

그러려면 해당 시점에서의 dollar 와 krw 의 환산, troy ounce 와 g 의 환산등을 고려한 차트가 필요할텐데 그런 기능을 제공해주는 그래프는 찾기 힘들어서 가장 둘의 무빙이 비슷했던 2023년 8월부터 2024년 4월까지를 base 로 잡고, 추후 둘의 무빙의 차이를 보았음.

 

여기서 보이는 현상은

1. 차트 안에서의 기간동안에는 국내 금 시장가격이 국제 금 시장 가격보다 더 높게 형성이 되는 괴리현상이 자주 발생

2. 둘의 가격 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구간이 존재하지만, 통상적으로 반년 내에는 다시 서로 근접하게 수렴하는 양상을 보임

 

이 현상들을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사람마다 다르겠만, 나 개인적으로는

특히 오늘의 괴리율은 정상적이지 않아 어떻게든 둘이 서로 수렴하게 만들 조정력이 세질 것 같다고 판단, '일시적 매도'를 결정하였음.

언제 다시 돌아올 것인가?

그렇다고 금에 대한 투자를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고 미국과 달러의 패권이 중국과 비트코인에게 계속 도전받는 거시적인 흐름 속에서, 나는 금을 안전자산으로서 대하는 선호도가 계속 강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아래와 같은 상황이 되면 다시 KRX 금 시장으로 돌아올 계획임.

  1. 괴리율 축소: 국제 시세 대비 프리미엄이 합리적인 수준(예: 5~7% 이내)으로 돌아올 때
  2. 금 시세 조정: 금 가격 자체가 조정을 받아 매력적인 가격대가 되었을 때

물론 결국 시장이라는게 예측하기 어려우니 내가 매도한 가격보다 더 오르거나 괴리율이 더 확대되어서 많이 꼬울 수도 있겠음.